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생성자 네이밍
- angular
- 외래키
- 기술면접
- 무결성
- GitHub
- DML
- 네이밍 컨벤션
- jre
- 자바스크립트
- 변수
- 앵귤러
- Visual Studio Code
- node.js
- VS Code
- 생성자
- DDL
- JPQL
- Angular.js
- jquery
- DCL
- javascript
- 트랜잭션
- 절차지향
- js
- 깃허브
- 기본키
- V8 자바 스크립트 엔진
- jdk
- json
- Today
- Total
목록etc. (10)
console.log("연록")
1. 자바 파일(.java) - java 규칙에 맞게 작성한 모든 소스코드 파일 - 사람이 작성 - 사람을 위한 파일(사람이 읽을 수 있는 text로 구성) 2. 클래스 파일(.class) - source code인 자바 파일을 자바 컴파일러를 통해 byte code로 변환한 파일 - JVM을 위한 파일 - 자바를 실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에서 실행이 가능 3. 자바 컴파일러 - 일반적으로 컴파일러는 High Level Language를 Low Level Language로 변환해주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 - 자바 컴파일러의 특징 1) .java파일에 오류가 있는지 검사 2) 특정 컴퓨터를 위한 코드를 바로 생성하지 않고 JVM (Java Virtua..

1. 자바(JAVA)란? - 자바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하나로 대표적인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 네트워크상에서 쓸 수 있도록 미국의 선 마이크로 시스템스가 개발 - 2010년 오라클에 인수된 이후 현재는 자바에 대한 유지보수나 관리는 오라클에서 책임지고 있음 - 자바는 Java SE와 JDK/JRE 버전으로 관리됨 - 자바 가상 머신(JVM, Java Virtual Machine)을 사용하여, 운영체제와는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 2. 자바의 장점 1) 자바는 운영체제와는 독립적으로 실행 가능 2) 자바는 불필요한 기능을 과감히 제거하여 다른 언어에 비해 배우기가 쉬움 3) 자바는 자동 메모리 관리 등을 지원하여 다른 언어에 비해 안정성이 높음 4) 자바는 연산자 오버로딩을 금지하고 제네릭을 도입함으로써 ..

공부 한 지 꽤 됐는데도 아직 생소하고 어려운 객체... 왜 이렇게 어려운 지 생각해보면 아무래도 '객체'라는 단어가 아예 처음 접하는 단어도 아닌데 또 그렇다고 많이 쓰이는 단어라 그 의미를 정확히 알기 어렵기 때문 아닐까 싶음 아직도 어려움 또르륵 1. 절차 지향(Procedural Programming) - 절차지향 프로그래밍이란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것처럼 순차적인 처리가 중요시 되며 프로그램 전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만드는 프로그래밍 기법 2. 객체(Object) -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 (즉, 주변에 있는 사물이나 생명체 같은 모든 것들을 말함) - 프로그래밍에서의 객체는 데이터의 분산을 막기 위해 데이터와 기능을 하나로 묶은 그룹 - ex) 컴퓨터(PC) ->컴퓨터(PC) = 데..
1. 정규화(Normalization)? - 이상 현상(Anomaly)을 해결하기 위해 속성들의 종속 관계를 분석하여 하나의 테이블을 둘 이상의 테이블로 분해하는 과정 2. 정규화의 목적 - 기본 목표는 중복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는 것 -> 자료 구조의 안정성 최대화 -> 효과적인 검색 알고리즘, 자료 저장에 필요한 저장 공간을 최소화 -> 중복 배제를 통한 DML 이상 발생 방지 -> 자료의 삽입, 갱신 및 삭제에 따른 이상 현상 제거 (데이터 무결성 유지) 3. 이상 현상(Anomaly) 1) 삽입 이상(Insertion Anomaly) - 원치 않는 자료가 삽입되거나 삽입하는데 자료가 부족해 삽입이 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 2) 갱신 이상(Update Anomaly) - 정확하지 않거나 일부의 튜플..
1. 트랜잭션(Transcation) -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는 하나의 논리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킨다는 것은 SQL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것을 의미 -> 작업의 단위는 SQL 한 문장이 아니라 사용자가 정하는 것 - 또는 한꺼번에 수행되어야 하는 일련의 연산들 2. 트랜잭션의 특징 1)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병행 제어 및 회복 작업 시 처리되는 작업의 논리적 단위 2) 사용자가 시스템에 대한 서비스 요구 시 시스템이 응답하기 위한 상태 변환 과정의 작업단위 3) 하나의 트랜잭션은 Commit 되거나 Rollback됨 3. TCL(Transaction Control Language) - 트랜잭션을 제어하는 언어 - 트랜잭션의 ..
1. 정의어(DDL : Database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의, 수정, 삭제하는 언어 - Create, Alter, Drop 2. 조작어(DML : Database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베이스 내의 자료 검색, 삽입, 갱신, 삭제를 위한 언어 - Select, Delete, Update, Insert *정의어와 조작어의 삭제 차이 정의어의 삭제는 테이블 자체를 삭제하는 것 Drop table student; (student 테이블을 삭제한다) 조작어의 삭제는 특정 row를 삭제하는 것 Delete From student where student_id = '0001'; (student 테이블에서 student_id가 0001인 row를..

1. 기본키(PK - Primary Key) - 관계형 DB에서 특정 레코드를 구별하기 위해 후보키* 중에서 선택한 고유한 식별자이다 - 후보키와 같이 유일성, 최소성을 지녀야 하며 NULL일 수 없다 - 테이블에서 각 Row를 유일하게 구분하는 Column Key이다 - 값이 자주 변경되지 않고 단순한 것을 보통 선택한다 2. 외래키(FK - Foreign Key) - 관게형 DB에서 한 테이블의 키 중 다른 테이블의 레코드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키이다 - 한 테이블의 레코드에서 다른 테이블의 레코드를 참조하기 위해 이용한다 - 아래의 그림에서 Table product의 product_id는 Table order에서 외래키로 사용된다 * 후보키(Candidate Key) - 기본키가 될 수 있는 ..

1. 데이터의 무결성 데이터의 무결성은 데이터의 정확성, 일관성, 유효성이 유지되는 것을 뜻한다.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은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있어 중요한 기능이다. 데이터베이스에서 말하는 무결성에는 네 가지가 있다. 1) 개체 무결성(Entity Integrity) - 모든 테이블이 기본키(Primary Key)로 설정된 필드(Column)을 가져야 한다 - 기본키로 선택된 필드는 고유한 값을 가져야 하며 Null은 허용하지 않는다(중복 값 허용하지 않음) 2) 참조 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 - 참조 관계에 있는 두 테이블의 데이터가 항상 일관된 값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뜻한다 - 관련된 테이블의 레코드 간..

1. 왼쪽 탭 상단 세 번째, 소스제어 아이콘 클릭 2. [변경 사항] 옆의 [+] 클릭 그러면 이렇게 스테이징 된다 3. [소스 제어] 옆 [✔] 클릭 그러면 커밋 메세지를 입력할 수 있음 메세지 입력 후 Enter 그러면 변경사항 옆 숫자가 0이 된다 4. [소스 제어] 맨 우측 점 3개 클릭 후 푸시 5. 깃허브에서 확인하기 잘 올라왔고... 잔디도 잘 자랐다! 끗!

(Visual Studio Code는 이미 설치되어 있고 GitHub 이용한 적이 있다는 전제 하) 1. 깃허브에 새로운 Repository 생성 후 Code 복사 2. VS Code에서 깃허브와 연결할 폴더를 열고 F1 누르기 3-1. Git: Clone 선택 후 복사해둔 Repository 주소 붙이기 3-2. 전에 이미 VS Code와 깃허브를 연동했다면 F1을 누르고 GitHub에서 복제 → 복제할 Repository 선택 4. 연결한 폴더 선택 끗! 제대로 연결됐다면 로컬 폴더 안에 .git 폴더가 생겼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