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생성자
- DML
- 기술면접
- node.js
- 트랜잭션
- jquery
- 앵귤러
- 깃허브
- V8 자바 스크립트 엔진
- Visual Studio Code
- DDL
- 무결성
- 생성자 네이밍
- 기본키
- JPQL
- jdk
- 외래키
- 변수
- 절차지향
- jre
- 자바스크립트
- 네이밍 컨벤션
- Angular.js
- angular
- DCL
- GitHub
- VS Code
- javascript
- json
- js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8)
console.log("연록")

1. 왼쪽 탭 상단 세 번째, 소스제어 아이콘 클릭 2. [변경 사항] 옆의 [+] 클릭 그러면 이렇게 스테이징 된다 3. [소스 제어] 옆 [✔] 클릭 그러면 커밋 메세지를 입력할 수 있음 메세지 입력 후 Enter 그러면 변경사항 옆 숫자가 0이 된다 4. [소스 제어] 맨 우측 점 3개 클릭 후 푸시 5. 깃허브에서 확인하기 잘 올라왔고... 잔디도 잘 자랐다! 끗!

저번에 사용했던 그 데이터를 사용하자 새로 찾기 조금 귀찮으니까~ //초기 데이터 var data = [ { "district": "부전제1동", "population": 15552 }, { "district": "부전제2동", "population": 9947 }, { "district": "연지동", "population": 20842 }, { "district": "초읍동", "population": 22431 }, { "district": "양정제1동", "population": 20540 }, { "district": "양정제2동", "population": 12976 }, { "district": "전포제1동", "population": 20927 }, { "district": "전포제2동",..

(Visual Studio Code는 이미 설치되어 있고 GitHub 이용한 적이 있다는 전제 하) 1. 깃허브에 새로운 Repository 생성 후 Code 복사 2. VS Code에서 깃허브와 연결할 폴더를 열고 F1 누르기 3-1. Git: Clone 선택 후 복사해둔 Repository 주소 붙이기 3-2. 전에 이미 VS Code와 깃허브를 연동했다면 F1을 누르고 GitHub에서 복제 → 복제할 Repository 선택 4. 연결한 폴더 선택 끗! 제대로 연결됐다면 로컬 폴더 안에 .git 폴더가 생겼을 것이다.

부산진구 인구 데이터를 인구수 기준으로 정렬하기 → population(key)의 value값을 기준으로 정렬 //초기 데이터 var data = [ { "district": "부전제1동", "population": 15552 }, { "district": "부전제2동", "population": 9947 }, { "district": "연지동", "population": 20842 }, { "district": "초읍동", "population": 22431 }, { "district": "양정제1동", "population": 20540 }, { "district": "양정제2동", "population": 12976 }, { "district": "전포제1동", "population": 20927 ..
식별자 어떤 값을 구별해서 식별해낼 수 있는 고유한 이름 식별자 네이밍 규칙 식별자는 특수문자를 제외한 문자, 숫자, 언더스코어(_), 달러 기호($)를 포함할 수 있음 단 식별자는 특수문자를 제외한 문자, 언더스코어(_), 달러 기호($)로 시작해야 함(숫자로 시작하면 안 됨) *예약어는 식별자로 사용할 수 없음 *예약어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고 있거나 사용될 예정인 단어 변수는 쉼표(,)로 구분해 여러 개를 한 번에 선언할 수 있음(가독성이 나빠지므로 권장X) var person, $elem, _name, first_name, val1; ES5부터 식별자 생성에 유니코드 문자 허용 → 한글, 일본어 식별자 사용 가능(알파벳 외의 유니코드 문자는 권장하지 않음) var 이름, なまえ; 자바스크립트는..

변수 선언과 변수 호이스팅 변수 선언은 변수를 생성하는 것 →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확보된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연결해 값을 저장할 수 있게 준비하는 것 → 변수 선언은 2단계에 걸쳐서 수행 선언 단계 : 변수 이름을 등록해 자바스크립트 에진에 변수의 존재 알림 초기화 단계 :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undefined를 할당하여 초기화(undefined는 자바스크립트에서 제공하는 원시 타입의 값) 변수 선언시 사용되는 키워드 → *var, let, const *var의 단점 블록 레벨 스코프를 지원하지 않고 함수 레벨 스코프 지원 → 의도치 않게 전역변수 선언 var score; //변수 선언 console.log(score); //undefined 만약 cons..

컴퓨터는 CPU를 사용해 연산하고 메모리를 사용해 데이터를 기억 메모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셀의 집합체 메모리에 저장되는 모든 값은 2진수로 저장 메모리셀 각각의 고유한 주소를 가짐 한 개의 메모리셀은 1바이트(8비트) 주소를 통해 직접 값에 저장하는 것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 → JS는 직접 메모리에 제어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음 + 코드 실행마다 메모리 주소 변경됨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변수 사용 변수(variable)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또는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 갑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징적인 이름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카니즘 여러개의 변수를 사용하려면? → 여러개의 변수 사용 → 배열, 객체 사용 var result = ..

1. Ajax JS를 이용해 서버와 브라우저가 비동기(asynchronous)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 이전의 웹 페이지 로 시작해 로 끝나는 완전한 html 코드를 서버로 부터 전송받아 웨베이지 전체를 렌더링 → 필요없는 부분까지 전부 렌더링해 불필요한 데이터 통신 발생 → 불필요한 데이터 통신 발생 → 성능 불리 → 화면 깜빡임 Ajax 도입 후 변경할 필요 없는 부분은 렌더링 X 필요한 데이터만 받아 변경해야하는 부분 한정 렌더링 2. jQuery DOM(Document Object Model) 더 쉽게 제어 *크로스 브라우징 이슈 해결 직관적 *크로스 브라우징 모든 브라우저에 깨지지 않고 의도한대로 나오게 하는 작업(호환성) 3. V8 자바 스크립트 엔진 더욱 빠르게 작동하는 JS 엔진 과..